행렬에 대한 설명은 다른 포스팅에 추가적으로 더 설명해두었습니다.
리스트(List)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.
우선 리스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.
리스트를 그냥 숫자들이나 문자들의 모음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...
이렇게 생각하면 너무 추상적일 것 같다.
일단, 이렇게 이야기해보자.
행렬도 벡터도 모두 리스트에 속한다.
알다시피 행렬이든 벡터든 모두 숫자의 모음이다.
벡터는 숫자들을 n × 1로 모아놓은 것이고, 행렬은 m × n으로 모아놓은 것이다.
Mathematica에서는 이 행렬이나 벡터에 문자가 들어갈 수도 있고,
행렬 특정 성분안에 또 다른 행렬이 들어갈 수도 있다.
이 모든 집합들을 리스트라고 부르는데,
앞서 말한 바와 같이 행렬안에 또 다른 행렬을 넣는 것도 가능하기에
그냥 숫자들과 문자들의 집합을 리스트라고 할 수 있겠다.
그래도,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리스트의 형태는 벡터와 행렬일 것이다.
이들을 만드는 명령어는 List이다.
바로 예를 들어 벡터 (v1,v2,v3)를 만들어보자.
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.List
[v1, v2, v3]
물론 아래와 같이 List명령어를 안 쓰고 단지 {}괄호안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도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.{v1,v2,v3}
그 다음으로는 2 × 3 행렬을 아래와 같이 만들어보자.
이것이 정말 행렬형태로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서
MatrixForm이라는 명령어를 아래와 같이 "//MatrixForm" 방식으로 사용해주었다.
(//명령방식은 다른 포스팅 참고)
1 | List [{a1, a2, a3}, {b1, b2, b3}] // MatrixForm |
행렬의 형태로 잘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.
리스트에 문자열을 넣고 싶으면,
사용하고자 하는 문구 양옆에 "를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Mathematica가 이를 변수나 숫자가 아닌
문구(String)으로 인식하게 된다.
1 | List [ "Hello" , "안녕" , 1] // MatrixForm |
설명은 여기까지이며,
이를 응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리스트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.
'Software > Mathematic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athematica] 데이터나 행렬을 Plot하기 (ListPlot) (0) | 2014.08.11 |
---|---|
[Mathematica] 많은 실험데이터를 분석하는 코드 (0) | 2014.08.10 |
[Mathematica] 미분방정식 풀기! (3) | 2014.08.07 |
[Mathematica] "방정식 또는 연립방정식 풀기!"와 "리스트를 다루는 방법" (7) | 2014.08.07 |
[Mathematica] 다른 Mathematica파일을 불러들여 실행시키기- (0) | 2014.08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