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thematica에서 미분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크게 2가지 방법이 있는데,
첫번째는 아래와 같이 D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다.
한번만 미분하는 경우라면 {}괄호 없이 더 간단하게 명령어를 쓸 수 있다.
예를 들어, f (x)=xy3+x3이라는 함수를 x에 대해서 2번 미분한다고 하면,
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.
함수를 정의할 때는 변수 뒤에 '_'를 붙이지만, 그 외엔 '_'를 사용하지 않는 점에 주의하자.
(더 자세한 설명은 링크참고.)
결과로 6x가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두번째 방법은 내가 선호하는 방법으로 수식을 적는 것처럼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다.
그 중에서 함수가 1변수인 경우는 간단하게 '를 이용해서 미분할 수 있다.
우리가 수식을 적을 때, 보통 f '(x)처럼 적는것처럼 말이다.
예를 들어, f (x)=10x5+3x+2이라는 함수를 x에 대해서 2번 미분한다고 하면,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.
결과로 200x3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함수가 다변수인 경우 편미분 기호인 ∂기호를 사용해야 한다.
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이 아래첨자 위치에 미분하는 변수에 관한 사항들을 입력하고,
미분하는 함수를 입력하는 것이다.
위에서 미분하는 함수에 () 괄호는 안 해줘도 되는 거지만,
난 가끔 수식에서 편미분기호가 어디까지 적용되는 건지를 정확히 표시해주기 위해 괄호를 사용한다.
∂기호는 Palette에서 입력할 수도 있고, 단축키인 Ese+pd+Ese를 이용해서 입력할 수도 있다.
(단축키에 관해선 링크참고)
앞서 D의 경우와 같이 한번만 미분해주는 경우 명령어를 {}괄호 없이 더 간단히 표시할 수 있다.
앞의 D명령어에서 한 것과 동일하게 f (x)=xy3+x3이라는 함수를 x에 대해서 2번 미분한다고 하면,
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.
6x로 동일한 답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Software > Mathematic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thematica를 이용한 선형회귀 및 오차 분석 (0) | 2015.01.10 |
---|---|
[Mathematica] 적분하는 방법 정리 (0) | 2014.10.13 |
[Mathematica] 물체의 이동을 추적하는(Tracking) 명령어! (0) | 2014.09.19 |
Mathematica의 매력 (0) | 2014.09.11 |
[Mathematica] 식 예쁘게 정리하기 (Refine, Simplify, $Assumptions) (0) | 2014.09.02 |